순천 :: 햇볕 쨍쨍, 푸릇푸릇한 순천 선암사 가는 길 (feat. 승선교와 삼인당)
날씨가 따뜻해질 무렵부터, 국내 어딘가로 여행을 가자고 생각하고 있었다. 홀로 군산을 다녀온 것도 어느덧 1년이 넘은 시점(군산 포스트는... 언젠가 글 쓸 거리가 떨어지면... :-D). 가족끼리 전라도를 함께 다녀온 적이 없다는 이유로 정해진 여행지는 바로 전라남도 순천과 강진이다. 순천은 국내여행지프로듀스? 101 대국민투표를 하라면 언제나 고정픽으로 뽑을 만큼 항상 가보고 싶었던 곳이다. 반면에 강진은 그 이름조차 생소한 것이었는데, 강진 한정식이 맛있다는 말에 여행지로 선택하게 되었다.
1박할 숙소를 강진으로 잡았기에, 순천에서 둘러볼 시간이 부족하다고 판단. 아침 6시 반에 집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첫번째 목적지인 순천 선암사까지는 어림잡아 3시간 이상 걸린다. 가는 길에 허기질까봐 우리동네 김밥집에서 산 보통김밥. 아침인데도 불구하고 한 줄반이나 먹어치웠다. 새로운 카메라로 찍은 첫번째 스냅이라, 나름 기념할 만한 사진.
하늘이 정말 맑은 7월의 주말이었다. 예쁜 풍경을 많이 보고 올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에 부풀었다.
중간에 잠깐 지리산 휴게소에 들렀다. 화장실도 깔끔하고 괜찮은 편이다.
선암사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드라이브 할 때는 왼쪽 길이 멋있다. 산자락에 '대한민국 생태수도 순천' 이라고 나무로 새겨(?)놓은 곳도 있었는데 찍지 못해서 살짝 아쉬웠다. 선암사 도착하고 나니 대략 10시 40분 정도. 주차료 2000원을 내고 나니 여행이 조금씩 실감이 나기 시작했다.
선암사는 태고종 총본산이자 조계종 제20교구 본사이다. 아무래도 6월 알쓸신잡이라는 예능 프로그램 때문에 이 곳을 관광하러 오시는 분들이 꽤 있지 싶다. 나도 그 중 하나. 물론 엄마가 독실한 불교 신자이기에 그 영향을 받았는지 국내 여행 갈 때는 꼭 절에 가긴 한다. 입장권에 찍힌 사진처럼 멋진 승선교도 보고 싶었고, 600년 되었다는 매화나무도 눈으로 직접 보고 싶었다. (옆에 있는 송광사도 시간이 넉넉했다면 갔을텐데.)
요금은 성인 1인에 2000원이라는 아주 착한 가격. 엄마는 신도증 소지자라 입장료가 면제였다.
주차장에서 선암사로 가려면 20~30분 정도 걸어가야 한다. 아직 12시도 되지 않았는데 햇볕이 아주 쨍쨍해서 고역이었다. 타기 싫어서 긴 바지를 입었다가 땀만 뻘뻘. 그래도 오랜만에 산 속 나무들을 보며 걷고 있자니 기분은 좋았다.
나무가 울창해서 햇볕을 조금 가려주었다.
아름드리 삼나무가 군데군데 심어져 있다.
선암사 옆에는 편백나무 숲이 있어서 산림욕하기 좋다더라.
가보고 싶었지만 날이 너무 덥기도 하고,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서 포기.
한국 불교 최대 종파와 같은 이름을 가진 조계산.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 찾아보니, 실제로 한자가 꼭 같다. 마을 조(曹), 시내 계(溪). 하지만 실제로 조계종은 중국의 조계산에서 가져온 이름이라고 한다. 순천 조계산의 원래 이름은 송광산/청량산이었는데, 고려 희종이 불교를 공경하는 마음에서 조계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시냇물이 졸졸졸
위쪽으로 올라가면 전통야생차체험관이 있다...고 한다.
웬만하면 가보겠는데, 정말 정말 더워서 올라가기 싫었다.
어쩐지 무서운 장승st의 조형물.
20분쯤 걸어왔더니 승선교가 보였다. 나도 이케이케 멋진 사진 찍고 싶었는데, 잘 안된다.
거기다 웬 아저씨분들이 다리 아래에서 돗자리를 까시거나, 뭔가를 드시거나 했다.
앞서가는 오마니께서 다리를 건너보신다.
선암사 승선교 (仙巖寺 昇仙橋) 보물 제 400호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승선교는 화강암으로 만든 아름다운 아치형 석교이다. 계곡의 폭이 넓어 아치 또한 유달리 큰 편이다. 아랫부분에서부터 곡선을 그려 전체의 모양이 완전한 반원형을 이루고 있는데, 물에 비쳐진 모습과 어우러져 완벽한 하나의 원을 이룬다. 승선교는 그 밑단부분이 자연 암반으로 되어 있어 급류에도 휩쓸릴 염려가 없다. 가운데 부분에는 용머리가 조각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정교하고 웅장하며 자연미를 풍기고 있다.
이 다리는 숙종 38년(1713)에 호암대사가 6년에 걸쳐 완공했다고 전한다. 일선에는 선암사를 고쳐 지을 때 원통전(1968)과 함께 설치했다고 한다.
나도 유시민 작가처럼 안내문에 태클을 걸어보자면... 첫번째 문단부터 '만들었다' 라는 말이 2번 연속 들어가서 거슬린다. 그리고 안내문 자체도 낡았고 글씨가 잘 안 읽힌다. 또 위치도 살짝 애매하다. 승선교를 건너가야 읽어볼 수 있다. 그래도 이끼 낀 건 나름 멋있다고 생각한다.
다리 입구(?)에 세워진 비석. 보물 400호임을 알려준다.
아래에 내려가서 용머리를 구경해보고 싶었지만...
저기 앉아 계시는 아저씨의 존재와 날씨의 강렬함이 날 주저하게 만들었다.
물이 정말 맑아보였다. 식수로 써도 될 것 같았다.
승선교를 뒤로 하고 조금 더 올라가보니 매점 비스무리한 식당이 하나 있었다.
그 앞에 있던 작은 연못
이 곳의 이름은 삼인당이다.
연잎 사이로 핀 자그마한 꽃들이 귀여웠다.
선암사 삼인당 (仙巖寺 三印塘) 전라남도 기념물 제 46호
삼인당은 긴 알 모양의 연못 안에 섬이 있는 독특한 양식으로, 선암사 사적에 따르면 신라 경문왕 2년(862)에 도선국사가 축조한 것이라 전한다. 삼인이란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의 삼법인을 말하는 것으로서, 모든 것은 변하여 머무른 것이 없고 나라고 할 만한 것도 없으므로 이를 알면 열반에 들어간다라는 불교 사상을 나타낸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이런 독특한 이름과 모양을 가진 연못은 선암사에서만 볼 수 있다.
설명을 보고 나니 좀 더 자세히 찍지 않은 것이 후회된다... 그치만 사실 관리가 잘 되어 있는 모습은 아니었다. 안내문을 읽지 않았다면 그냥 스쳐지나갈 법한 그런 연못. 멋지고 대단한 거라면 그렇게 보이도록 포장을 해줬으면 좋겠다.
삼인당을 보았다면 이제 선암사 사찰에 아주 가까워진 것이다.
조금 더 걸어가자 보이는 나무로 만든 울타리가 멋스러웠다. 예전 교토에서 봤던 미무로토지와 기오지가 떠올랐다.
일본 사찰은 정갈한 반면에 정리가 너무 잘 되어 있어서 인위적이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한국의 사찰은 좀 더 자연스럽고, 사람 손이 덜 간 느낌이라고 생각했다.
푸릇푸릇한 것들을 보면서 30분을 걸어왔더니 눈이 정화되는 느낌
그리고 온몸의 육수가 빠져나가는 느낌
얼기설기 귀여운 나무울타리 안 쪽에는 공간에는 녹차잎으로 보이는 것들이 무럭무럭.
드디어 선암사 사찰 입구가 보이기 시작했다.
'국내여행 > 광주·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 :: 7080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순천 드라마촬영장 (32) | 2017.09.24 |
---|---|
순천 :: 숨이 턱턱 막혀오는, 아름다운 여름의 순천만습지 (25) | 2017.09.22 |
순천 :: 순천만습지 앞 대대선창집, 짱뚱어가 통째로 들어간 짱뚱어전골 (32) | 2017.09.20 |
순천 :: 여름의 선암사에서 선암매, 와송, 해우소를 보다 (28) | 2017.09.15 |
순천 :: 우렁찬 스님들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삼무(三無)의 선암사 (36) | 2017.09.1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순천 :: 숨이 턱턱 막혀오는, 아름다운 여름의 순천만습지
순천 :: 숨이 턱턱 막혀오는, 아름다운 여름의 순천만습지
2017.09.22 -
순천 :: 순천만습지 앞 대대선창집, 짱뚱어가 통째로 들어간 짱뚱어전골
순천 :: 순천만습지 앞 대대선창집, 짱뚱어가 통째로 들어간 짱뚱어전골
2017.09.20 -
순천 :: 여름의 선암사에서 선암매, 와송, 해우소를 보다
순천 :: 여름의 선암사에서 선암매, 와송, 해우소를 보다
2017.09.15 -
순천 :: 우렁찬 스님들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삼무(三無)의 선암사
순천 :: 우렁찬 스님들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삼무(三無)의 선암사
2017.09.14